루이스 부뉴엘의 '학살의 천사'(1962)를 처음 보았을 때의 당혹감을 아직도 생생히 기억한다. 호화로운 저녁 식사 파티에 모인 부르주아 계급의 사람들이, 설명할 수 없는 이유로 방을 나가지 못하게 되는 상황. 이 단순하면서도 기이한 전제는 부뉴엘의 손에서 현대 사회에 대한 가장 신랄한 비평 중 하나로 발전한다.
영화는 반복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하인들이 설명할 수 없는 이유로 저택을 떠나고, 파티에 참석한 손님들은 마찬가지로 설명할 수 없는 이유로 거실을 벗어나지 못한다. 이 불가해한 상황은 그들의 문명화된 겉모습을 하나씩 벗겨내기 시작한다.
부뉴엘의 천재성은 이 부조리한 상황을 완벽하게 현실적으로 그려내는 데 있다. 등장인물들은 자신들의 처지에 대해 끊임없이 합리적인 설명을 시도하지만, 그들의 모든 시도는 실패로 돌아간다. 이는 현대인들이 불합리한 사회 시스템을 합리화하려 노력하는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방 안에 갇힌 사람들의 점진적인 퇴화 과정은 마치 문명의 허울을 벗겨내는 것과 같다. 처음에는 예의 바르고 세련된 모습을 유지하던 그들은 점차 원시적인 상태로 돌아간다. 음식이 떨어지고, 물이 부족해지며, 위생 상태가 악화되면서 그들의 '문명화된' 가면이 하나씩 벗겨진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사회적 위계질서의 붕괴다. 처음에는 엄격히 지켜지던 계급적 예절과 규범이 점차 무너지면서, 모든 인물이 동물적 생존의 차원으로 떨어진다. 이는 문명이라는 것이 얼마나 얇은 베니어에 불과한지를 보여준다.
종교적 상징도 영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복되는 미사 장면, 신비주의적 제스처들, 그리고 희생 제의적 요소들은 모두 종교의 공허함과 무력함을 드러내는 장치로 기능한다. 특히 영화 후반부의 양 희생 장면은 종교적 의례의 부조리성을 극단적으로 보여준다.
공간의 활용도 매우 흥미롭다. 호화로운 저택의 거실은 점차 감옥으로, 다시 야생의 공간으로 변모한다. 이 변화는 단순한 물리적 변화가 아닌, 인간 문명의 퇴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벽에 걸린 예술품들, 화려한 샹들리에, 우아한 가구들은 점차 그 의미를 상실하고 생존을 위한 도구로 전락한다.
부뉴엘은 특유의 블랙 유머를 통해 이 모든 상황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등장인물들의 행동이 점점 더 부조리해질수록, 그들이 유지하려 하는 예절과 품위는 더욱 우스꽝스러워 보인다. 이는 사회적 관습의 허구성을 드러내는 강력한 장치가 된다.
영화는 또한 반복의 모티프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같은 대화, 같은 행동, 같은 상황이 끊임없이 반복되면서, 인간 행동의 기계적 성격이 드러난다. 이는 현대 사회의 일상적 반복성에 대한 비판으로 읽을 수 있다.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영화의 정치적 함의다. 1962년 스페인에서 제작된 이 영화는 프랑코 독재 체제에 대한 은밀한 비판으로도 읽을 수 있다. 설명할 수 없는 힘에 의해 구속된 사람들의 모습은, 전체주의 체제 하의 시민들의 상황을 암시한다.
등장인물들의 대화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그들은 자신들의 상황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하지만, 실제로는 아무것도 소통하지 못한다. 이는 현대 사회의 소통 불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지식인들의 공허한 담론을 비판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음악의 사용도 독특하다. 클래식 음악은 상황의 부조리함을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반복되는 피아노 연주 장면은 문화적 세련됨의 허구성을 드러내는 장치가 된다.
영화의 후반부로 갈수록 상황은 더욱 악화된다. 죽음, 자살, 광기가 등장하면서, 인간의 문명화된 겉모습 아래 숨어있던 야만성이 완전히 드러난다. 그러나 부뉴엘은 이를 감정적으로 그리지 않는다. 오히려 냉정한 관찰자의 시선을 유지하면서, 상황의 부조리함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특히 인상적인 것은 영화의 순환적 구조다. 마지막 장면에서 등장인물들이 성당에서 다시 갇히게 되는 상황은, 이러한 부조리가 끝나지 않을 것임을 암시한다. 이는 인간 사회의 근본적인 모순이 해결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일까?
부뉴엘은 이 영화를 통해 현대 사회의 여러 측면을 비판한다:
1. 계급 제도의 허구성
2. 종교의 무력함
3. 문명의 얇은 껍질
4. 이성과 합리성의 한계
5. 사회적 관습의 공허함
6. 인간 본성의 야만성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결코 단순한 풍자에 그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조건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우리는 모두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구속되어 있지 않은가? 우리의 자유의지란 것은 얼마나 실재하는가?
영화의 시각적 스타일도 주목할 만하다. 부뉴엘은 과도한 스타일리제이션을 피하고, 오히려 사실주의적인 화면을 통해 상황의 부조리함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이는 초현실주의가 반드시 기이한 이미지를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등장인물들의 연기도 영화의 성공에 크게 기여한다. 그들은 상황의 부조리함을 과장하지 않고, 오히려 극도로 자연스럽게 연기함으로써 더 큰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는 부조리극의 전통을 영화적으로 잘 구현한 예다.
'학살의 천사'는 출시 당시에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는 영화가 다루는 주제들이 오히려 현대에 와서 더욱 절실해졌기 때문일 것이다. 사회적 관습의 공허함, 문명의 허약함, 인간 본성의 야만성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문제들이다.
결론적으로, '학살의 천사'는 단순한 초현실주의 영화나 사회 비평을 넘어서는 깊이 있는 철학적 탐구다. 그것은 인간의 조건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동시에 현대 사회의 모순을 날카롭게 포착한다. 이것이 바로 이 영화가 시간이 지날수록 더 큰 의미를 가지게 되는 이유일 것이다.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