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엘 슈마허의 <폴링다운> 리뷰

'폴링 다운'은 1993년 조엘 슈마허 감독이 선보인 심리 스릴러로, 현대 도시의 일상적 폭력과 사회적 불만이 어떻게 한 개인을 파국으로 몰아가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마이클 더글라스가 연기한 주인공 윌리엄 포스터는 평범한 중산층 남성입니다. 그러나 교통 체증에 갇혀 더위에 지친 그의 일상은 순식간에 광기 어린 폭력의 연쇄로 변모합니다. 더글라스의 연기는 압도적입니다. 그는 분노와 좌절, 그리고 어딘가 슬픈 광기를 오가는 포스터의 복잡한 심리를 섬세하게 표현해냅니다.

영화는 LA의 뜨거운 아스팔트를 배경으로 펼쳐집니다. 도시의 갑갑하고 건조한 풍경은 주인공의 심리 상태를 반영하는 듯합니다. 카메라는 종종 포스터의 시선을 따라가며, 관객들로 하여금 그의 왜곡된 현실 인식을 체험하게 만듭니다.

'폴링 다운'은 90년대 초 미국 사회의 단면을 예리하게 포착합니다. 인종 갈등, 빈부 격차, 총기 문제 등 다양한 사회 문제들이 포스터의 광기 어린 여정을 통해 드러납니다. 특히 패스트푸드점에서의 '아침 메뉴' 에피소드는 현대인의 소비 욕구와 좌절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명장면입니다.

로버트 듀발이 연기한 형사 프렌들리는 포스터와 대조를 이룹니다. 은퇴를 앞둔 그는 법과 질서의 수호자이지만, 동시에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또 다른 '낙오자'이기도 합니다. 두 인물의 대비는 영화에 깊이를 더합니다.

영화는 폭력을 미화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폭력의 무의미함과 파괴성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포스터의 행동은 때로는 카타르시스를 주지만, 결국 그를 파멸로 이끌 뿐입니다. 이는 폭력이 결코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을 강조합니다.

'폴링 다운'의 진정한 힘은 관객들에게 불편한 질문을 던진다는 점에 있습니다. 우리는 포스터의 행동을 단순히 비난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그의 분노에 어느 정도 공감하게 되는 걸까요? 이런 질문들은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들에 대해 생각해보게 만듭니다.

영화의 결말은 씁쓸합니다. 포스터의 비극적 최후는 그의 분노가 결국 아무것도 해결하지 못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동시에 우리 사회가 그를 만들어냈다는 불편한 진실을 상기시킵니다.

'폴링 다운'은 단순한 액션 스릴러가 아닙니다. 이는 현대 사회의 병폐를 날카롭게 지적하는 사회 비평이자,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을 들여다보는 심리극입니다. 영화는 우리에게 분노 조절의 중요성, 소통의 필요성, 그리고 사회적 책임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듭니다.

결론적으로, '폴링 다운'은 시대를 앞서간 문제작입니다. 개봉 당시의 충격적인 메시지는 3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며, 오히려 더 절실해 보입니다. 이 영화는 우리 모두의 내면에 잠재된 '윌리엄 포스터'를 직시하게 만들며, 그를 억누르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갈 책임이 우리에게 있음을 상기시킵니다.